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20

[모니터링] 모니터링 플랫폼 알아보기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전사 시스템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수이며 SI 프로젝트에서 사내 인프라 모니터링을 담당하였었다. 서비스를 구축한 것은 아니었고 솔루션을 도입하여 운영만 하였었지만, 덕분에 장애 발생 시 Trace 하는 나만의 방식이 생겼었다. 하지만 결국 인프라 레벨에서만 확인할 수 있었고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의 문제는 파악하기 어려웠고 한계점으로 남았었다.약 6개월간 운영하면서 느꼈던 장단점은 다음과 같았다. 장점서비스(프로세스) DOWN 시 즉시 알람을 받아 다운타임을 줄일 수 있었다. (페일오버가 되면 더 좋겠지만 페일오버가 되더라도 알 수 있어야 했음)서버 리소스 지표를 보고 메모리 누수 혹은 비정상적인 점유를 파악할 수 있었다.테스트 시 지표 및 자료 분석이 가능했다.장애 발.. 2025. 2. 17.
[회고] 2024년 TA직무 1년차 회고 다른 IT 직무의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사는 게 항상 궁금했다. 블로그를 뒤지다 보면 마음에 와닿는 게 회고록이었지만. 내 회고록은 작성해 본 적이 없었다.나도 내 생각을 말하고 의견을 주고받는 걸 워낙 좋아하다 보니 만나서는 잘 얘기하는데, 혼자 생각을 정리하진 않았었다.혼자 머릿속으로 생각하고 다짐한 적은 많지만 글로 풀어내지 않으니 금방 잊어버리고 뭘 다짐했었는지 헷갈리고 변색되기 쉬웠다. 오늘도 지난 1년을 되돌아 보는 멍을 때렸는데, 이번엔 글로 작성해서 내가 어떤 생각들을 해왔는지 남겨보려 한다.목표 직무? [학생시절]음.. 학생때는 그냥 시키는 대로 프로그래밍 언어, 컴퓨터 사이언스를 공부했고.. 어느 순간부터 어려운 로직을 구현해보고 싶어 백엔드 개발자가 되겠다고 공부했었다. 그러다.. 2025. 2. 9.
[리눅스마스터 1급] 일반 운영 관리 [1] ✅ parted vs fdisk: 디스크 파티셔닝 도구 비교parted와 fdisk는 둘 다 리눅스에서 디스크 파티셔닝을 위한 명령어 도구.두 도구의 주요 차이점은 파티션 테이블 형식, 기능, 사용 용도 등에서 차이를 보임1️⃣ parted📌 특징디스크 파티셔닝 도구로, 고급 기능을 제공GPT (GUID Partition Table)와 MBR (Master Boot Record) 파티션 테이블을 모두 지원인터랙티브 모드와 스크립트 모드에서 모두 사용 가능디스크 크기 자동 계산, 파티션 크기 조정 등 동적 기능 제공파티션 크기 변경 및 파티션 이동 등 고급 기능 지원📌 장점✔ GPT 지원: GPT는 2TB 이상의 큰 디스크와 4개 이상의 파티션을 지원✔ 동적 파티셔닝: 파티션 크기 변경, 이동, 삭제 .. 2025. 2. 7.
[리눅스마스터 1급] 네트워크의 이해 ✅ 회선 교환 방식 vs 패킷 교환 방식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에는 회선 교환 방식(Circuit Switching) 과 패킷 교환 방식(Packet Switching) 이 있음 📌 1. 회선 교환 방식 (Circuit Switching)📖 개념: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고정된 회선(경로)을 설정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데이터를 보내는 동안 연결된 경로를 독점적으로 사용전화망(PSTN)이 대표적인 예📌 특징:✅ 연결 지연: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 경로를 미리 설정해야 함✅ 고정 대역폭: 설정된 회선을 다른 사용자가 공유할 수 없음 → 끊김 없는 통신 가능✅ 낮은 지연 시간: 데이터가 같은 경로로만 가기 때문에 전송 속도가 안정적❌ 비효율성: 데이터를 보내지 않을 때도 회선을 독점하므로 비효.. 2025. 2.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