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ginx3 Nginx와 Apache의 차이? 실습 나온 사내에서 Nginx를 사용하지 않고 Apache2에 서버를 그냥 올리고 사용하고 있었다. 나도 사실 Nginx를 왜 사용해야 하며 무슨 차이가 있는지 잘 몰랐지만, Nginx를 위에 얹어서 트래픽을 관리하는 로드밸런서의 역할로 사용하는 것이 조금 상용화? 되어있기에 무작정 Nginx를 적용하는 게 더 좋은 거다라고만 생각하고 있었다. 왜 Nginx 안쓰시나요 물어봤다가 역질문을 받아 C10K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왔다 정도만 알고 있지 정확한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을 하지 못했기에.. 미팅 때 정리해서 알려달라고 하셨고 열심히 알아보았고 미팅 때 잘 설명드렸더니 재미있다고 하셨다.! 시간이 될 때 블로그로도 남겨야겠다싶었는데 미루다가 2개월이 지나고서야 글을 쓴다. 최근에 MS Azure로 .. 2023. 3. 20. Docker를 이용한 사내 GitLab 설치하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외부에 공개되면 안 되는 소스 코드를 어떻게 관리할지 고민하다 도커 이미지로 GitLab을 사내 서버에 띄워서 사용하면, private 하게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다고 하여 세팅을 하게 되었고, 일련의 과정이기 때문에 문서화하여 사내에 공유하고 나는 블로그로 기록을 남기기로 했다. 서버는 Ubuntu 22.04 LTS를 사용하였다. 도커 공식 문서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사전 작업 도커를 설치하기 전에 진행 gnome-terminal을 설치 이전에 docker desktop이 설치되어있을 수 있으므로 삭제(설치한 적이 없다면 생략해도 좋다) 초기 Repository 세팅 apt-get 업데이트 및 HTTP 패키지 설치 GPG 키 및 저장소 추가 커맨드를 통해 repository.. 2023. 2. 3. SpringBoot API 개발팀을 위한 aws 세팅 AWS에서 EC2를 생성해, 개발팀이 공동으로 작업할 수 있는 서버를 만드는 과정 SpringBoot, Nginx, Tomcat, Mysql AWS : EC2, Route53(Domain), Certificate Manager, SSL, ELB(ALB) EC2를 먼저 생성한다. AWS에 로그인을 한 후, EC2 서비스에 들어가 인스턴스 시작을 누른다. 그러면 Quick Start라며 AMI를 보여준다. AMI는 쉽게 말하면 AWS에서 미리 구축해놓은 서버를 이미지(컨테이너)로 만들어 제공을 해주는 것이다. 나는 우분투를 선택하였고, 인스턴스 유형은 CPU와 메모리를 선택하는 것인데, t2.small을 선택했다. 나중에 CPU나 메모리가 부족하면 AMI 서비스를 이용해 내가 구축해놓은 서버를 이미지로 복사.. 2022. 7. 3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