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omcat3

톰캣과 스프링 web 설정 Tomcat - Spring 프로젝트를 사용하면서 헷갈리는 설정파일들을 정리해 본다 이 중 conf파일을 확인해 보면 web.xml, context.xml, server.xml 등의 설정 파일이 존재한다 이러한 설정파일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Tomcat의 server.xml은 톰캣이 실행 시 필요한 정보를 정의한 파일이다. 포트 정보, DB 접속정보, 웹 리소스(ex. jsp, image 파일) 참조경로, 이벤트 리스너(event listener) 등을 설정한다. server.xml 구조 Listener: 톰캣의 이벤트 리스너 정의 GlobalNamingResources: JNDI정보, 즉 JDBC와 같은 java-DB 연결정보를 정의 Service: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어떻게 처리할지 정의 ( Co.. 2023. 10. 25.
Tomcat 재기동 시 에러 현재 우리 프로젝트 개발 환경에서 젠킨스에서 새로운 PR에 대해 Build 하고 배포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AWS 클라우드를 활용 중이다. 하지만 여러 사람이 프로젝트에 관여하다 보니 가끔 빌드 후 톰캣에서 에러가 발생하곤 한다..(개발 단계이고, 실제 Production에선 절! 대! 발생해선 안 되는 상황이다) 이번에 정리해보고자 하는 내용은 Tomcat 구동 시 에러로그를 확인하고, 추적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인 로컬에서의 상황이 아니고 클라우드 cli에서 로그 파일을 확인해야 하므로 기록을 남겨보고자 한다. 1. Build가 성공하고 새롭게 Reload되었더니 시원하게 502 Bad Gateway를 뿌려주고 있었다. 2. Tomcat을 구동하는 AWS EC2 서버에 ssh 접속하여 확인을 해보기.. 2023. 2. 1.
SpringBoot API 개발팀을 위한 aws 세팅 AWS에서 EC2를 생성해, 개발팀이 공동으로 작업할 수 있는 서버를 만드는 과정 SpringBoot, Nginx, Tomcat, Mysql AWS : EC2, Route53(Domain), Certificate Manager, SSL, ELB(ALB) EC2를 먼저 생성한다. AWS에 로그인을 한 후, EC2 서비스에 들어가 인스턴스 시작을 누른다. 그러면 Quick Start라며 AMI를 보여준다. AMI는 쉽게 말하면 AWS에서 미리 구축해놓은 서버를 이미지(컨테이너)로 만들어 제공을 해주는 것이다. 나는 우분투를 선택하였고, 인스턴스 유형은 CPU와 메모리를 선택하는 것인데, t2.small을 선택했다. 나중에 CPU나 메모리가 부족하면 AMI 서비스를 이용해 내가 구축해놓은 서버를 이미지로 복사.. 2022. 7.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