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DBD에 대해..
Quick DBD는 말 그대로 Quick DB Diagram인 것 같다. 매우 간편하게 ER 다이어그램을 그리도록 도와주는 툴이다.
ERD를 그려서 프로젝트를 관리해야 하는 상황이 왔을 때 어떤 툴들이 있는가 하고 검색을 해봤었고, 그중 Quick DBD가 UI나 다이어그램 형태가 이쁘고 직관적이어서 선택했었다.
이쁘고 직관적이기만해도 상당히 장점이라고 생각하는데, 편리하고 나처럼 뭔가 그리고 만들기에 손이 느린 사람에게 특화되어 '코드'로 ERD를 그릴 수 있도록 해주었다.
ERD를 만들 때 작업에 집중하기 위해 키보드 사용을 선호한다면 QuickDBD 사용을 추천한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으로 다이어그램을 공유하여 공동 작업이 가능
또한 Quick DBD에서는 MySQL, Oracle 및 SQL Server로부터 스키마를 불러올 수 있어 ERD를 보다 쉽고 빠르게 생성할 수 있다. --------> 진짜 큰 장점
다시 정리하면
- 프로젝트를 공개적으로 저장하고 공유가 가능하다
- 스키마를 입력하여 ERD를 생성할 수 있다.
- MySQL, Oracle, SQL Server를 지원
QuickDBD 사용 방법
아래 사이트에 접속하여 try the app 버튼을 통해 ERD 생성 페이지로 들어갈 수 있다.
Home - QuickDBD
Quick Database Diagrams (QuickDBD) is a simple online tool to quickly draw database diagrams by typing.
www.quickdatabasediagrams.com
내가 사용하던 ERD이다.
한눈에 들어오며 이해하기 쉽게 다이어그램들이 그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화면의 왼쪽에는 스키마를 정의할 수 있는 곳이고, 오른쪽에 테이블들은 정의한 스키마들을 만든 테이블 다이어그램 화면이다.
위쪽 메뉴를 보면 여기서 만든 스키마를 추출할 수 있는 기능, 불러올 수 있는 기능 등이 있고, Share를 통해 팀원과 공유할 수 있다.
왼쪽 스키마 정의를 먼저 보면 코드로 짜여져있는데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구성할 수 있으며 나도 처음 사용할 때 굉장히 쉽게 익힌 것 같다. 맨 위에 테이블명을 설정할 수 있고, PK, FK를 입력하면 기본키와 외래키도 구성할 수 있다.
FK는 FK >- 참조할_테이블.키 를 통해 쉽게 테이블 관계를 연결할 수 있다.
아마 처음 접속하게되면 기본 ERD를 제공해 주는데 이를 살펴보고 직접 자기의 ERD로 응용하기 쉬울 것이다.
물론 테이블 배치도 직접 다 바꿀 수 있다.
나의 경우에는 배치 움직이는 정도야 깔끔하게 정리하지만, 테이블을 직접 만들지 않아서 너무 좋았다...
Share버튼을 누르면 링크형태로 공유를 할 수 있고,
File을 클릭하면 Collaborate가 있는데 해당 기능을 사용하면 Email로 Collaborator를 초대할 수 있다.
항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초기에 DB 구조를 파악하는 게 너무 힘들었는데, 이제는 ERD를 그려가면서 DB 구조를 이해하고 기록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렇게 편리한 툴이 없을까 고민하고 검색하던 중 너무 내 취향에 맞는 ERD 툴을 발견하였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나 개인프로젝트를 할 때 아마 이 툴을 계속 이용하여 진행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누구나 이해할 수 있다는게 정말 큰 장점 같다..
뭔가를 새로 익힐 때 망설여지는 사람들.. 배우면 훨씬 편리하게 설계가 가능하니 꼭 사용해 보길 바란다.
무료 버전에서 Pro Plan 1년 제공 받는 방법!
- Quick DBD를 사용하고 이에대한 리뷰를 남기는 블로그를 작성한다.
- Quick DBD에 작성한 게시글 링크와 회원 PROFILE을 캡쳐해서 메일로 보내면 1년 프로 이용권을 제공!
- 단, 블로그의 글자수를 500자 이상 적어야 한다.
- 간단하니 1년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합시다!! (글을 쓴 이유..ㅎㅎ)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트리 챌린지] 체크판 위에서2 (0) | 2023.09.11 |
---|---|
코드트리 블로그챌린지 인증용 (0) | 2023.09.02 |
intellij mac 명령 단축키 (0) | 2023.07.15 |
sw마에스트로 2차 코딩테스트 후기 (0) | 2023.03.08 |
sw마에스트로 14기 코딩테스트 1차 후기 (0) |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