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키텍처2 [아키텍처] 물리 인프라 아키텍처 [1] 본 글은 약 10개월간 참여했던 Unix to Linux 차세대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의 한 사이클을 경험하고, 0년 차 아키텍트로서 보고 배운 관점과 매우 주관적인 아키텍처 설계 과정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몇 개의 시리즈로 정리될지는 모르며 꼬리에 꼬리를 무는 개념이 많다 보니 글의 흐름이 어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첫 투입 당시 vi는 다룰줄 아느냐는 질문을 시작으로 많이 써본 적은 없지만 하면 하는 거죠! 했던 초보 중 초보의 입장에서 쓴 기록입니다!분석 단계차세대 시스템은 아무것도 없던 환경에서 서비스 하나씩 확장해 나가는 과정이 아니다.기존에 잘 사용하고 있던 하나의 거대한 시스템을 현대화한 시스템으로 갈아 끼우는? 과정이다. 차세대 시스템 구축은 Waterfall model에 가까우며 경.. 2025. 1. 8. [아키텍처] 하이퍼바이저 아키텍처 서버 운영 방식은 과거 물리 서버 기반에서 점차 확장성과 유연성을 고려한 구조로 진화해 왔다. 이러한 발전의 핵심 동력 중 하나는 바로 가상화 기술의 도입이라고 생각한다. 가상화는 물리적 하드웨어를 논리적으로 추상화하여 여러 가상 머신(VM)이 자원을 나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그러나 이 개념은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추상적으로 느껴질 수 있어, 가상화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명확히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실제 가상화 환경에서는 물리 서버 위에 여러 VM을 구축하며, 이 VM들은 물리 서버와 동일하게 통신해야 하는데, VM들은 네트워크, 저장장치, 메모리 등 다양한 하드웨어 자원을 소프트웨어적으로 할당받아 사용하게 된다.이러한 자원 할당과 관리, 그리고 VM과 물리 하드웨어 간의 통신을 중재하는.. 2024. 12.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