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회고] 2024년 TA직무 1년차 회고

by wwns 2025. 2. 9.
반응형

다른 IT 직무의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사는 게 항상 궁금했다. 블로그를 뒤지다 보면 마음에 와닿는 게 회고록이었지만. 내 회고록은 작성해 본 적이 없었다.

나도 내 생각을 말하고 의견을 주고받는 걸 워낙 좋아하다 보니 만나서는 잘 얘기하는데, 혼자 생각을 정리하진 않았었다.

혼자 머릿속으로 생각하고 다짐한 적은 많지만 글로 풀어내지 않으니 금방 잊어버리고 뭘 다짐했었는지 헷갈리고 변색되기 쉬웠다.

 

오늘도 지난 1년을 되돌아 보는 멍을 때렸는데, 이번엔 글로 작성해서 내가 어떤 생각들을 해왔는지 남겨보려 한다.


목표 직무? [학생시절]

음.. 학생때는 그냥 시키는 대로 프로그래밍 언어, 컴퓨터 사이언스를 공부했고.. 어느 순간부터 어려운 로직을 구현해보고 싶어 백엔드 개발자가 되겠다고 공부했었다.

 

그러다가 실제 컴퓨터가 주고받는 데이터는 어떤 형태인지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구조에 대해 궁금했고

네트워크, 서버 단에 궁금증을 가졌었다.

아! 이렇게 통신이 되는거구나에 재미를 느꼈고..

 

그러다가 IT 개발 동아리에서 서버+박엔드 담당을 지원했고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

문제 상황이 생길 때마다 나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 의해 자부심?을 느끼게 되었고 날 필요로한다는게 이렇게 기분 좋은 일인 줄 몰랐으며 그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정말 최선을 다해 문제해결에 집중하는 사람이구나라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내 성격을 보게 되었음]

 

이러한 매력에 이끌려 백엔드 개발자 혹은 서버 엔지니어가 되고자 길을 잡았었고 공부했다.

그리고 생각보다 빨리? 인프라 아키텍트 직무로 근무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2024년 1월]

1년간 인프라 아키텍트 직무를 한 후 목표 직무?

거의 1년간 인프라 아키텍트 직무로 차세대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다.

구축단계의 인프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정말 정말~ 많았다. 살짝만 근거없이 설정을 건드리면 언젠가 탈이 나는 섬세함 그 자체였다.

교재: 인프라/네트워크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이해 및 설계 가이드

요즘 중증외상센터 드라마가 유행인데 마침 책 중 이런 표현을 한 책이 있었다. (꼭 읽어봐야지..)

 

인프라 아키텍트로 업무하면서 정말 잡다한 일이 다 엮여있어서 일도 많고 신경 쓸 것도 많았지만

그만큼 모든 팀에서 우리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모든 길은 인프라팀을 거쳐가야 한다.

 

다른 사람들은 인프라 가면 개고생이다 다른 돈 잘 버는 직무로 옮겨라, 장애 없이 잘 구축해야 본전인 곳.

이란 평가들이 많지만 정말 존경하는 분은 그렇게 말하지 않는다.

인프라는 아무나 할 수 없어서 자부심을 느낀다..

중증외상센터 명대사

 

2024년 한 해동안 정말 많이 구르고 고생하며 보냈지만 정말 배우기 힘든 경험을 했고 그만큼 내 가치가 올라갔으며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였다.

 

앞으로 내 목표는 변했다면 살짝 변했지만. 큰 틀에서는 동일한 직무를 보고 싶다.

바로 SRE 직무로 나아가는 것.

 

인프라를 열심히 배우면서 업무 외에 스터디를 통해 우리 인프라를 안정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운영하기 위한 방법들을 공부하고 배워 내가 맡은 생태계에서는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고 연구할 수 있는 사람이 되려고 목표를 가졌다.!

 

어디에 가든.. 나를 필요로 하고 내가 있어 팀원들이 안심할 수 있는 생태계를 이루고 싶다 ㅎㅎ


2025년의 목표?

 

2025년에는 하고 싶은 것? 해야 되는 것? 이 정말 많다.

 

회사에서 계획한 목표

  1. 온프레미스 <-> 클라우드 구축 스터디
    • 최신 IT 인프라 트렌드는 Hybrid 환경이다. 고객의 데이터 보안, 안정성을 위한 온프레미스 환경과 확장성과 클라우드 네이티브한 환경을 위한 클라우드 환경의 혼합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각 아키텍트들의 경험을 공유하여 시야를 넓히고자 한다.
  2. AI 인프라 스터디
    • AI가 비즈니스적으로 떠오른 지 꽤 되었으며 많은 기업이 AI를 도입하고자 하며 고객의 니즈를 맞춰 AI에 적합한 인프라는 어떠한지 공부하고자 한다.
  3. IT 트렌드
    • AWS와 같은 CSP 회사는 지속적으로 고객들의 클라우드 네이티브한 환경을 위해 새로운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으며 이를 잘 활용하기 위한 연구와 PoC를 지속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개인적으로 계획한 목표

  1. 리눅스에 대해 더 딥한 공부 [강의 수강, 자격증(리눅스마스터), 커널 함수 디버깅]
    • SI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좀 더 빠르고 정확한 문제해결을 위해 리눅스를 더 자세히 공부하고자 한다.
  2. 모니터링 환경 구축
    • 어떤 인프라 환경에 따른 모니터링 포인트들이 각기 다를 수 있으며 구축 방법도 다를 수 있다. 적합한 모니터링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모니터링 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내 입맛대로 구축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기에 무작정 구축하고 수정하며 연습해보려고 한다!

또 새로운 SI 프로젝트에 투입되어 이 많은 목표들을 이룰 수 있을지 걱정되지만 최선을 다해보자..!

 

너무 일적인 성장만 갈구하는 한 해가 될 것 같지만.. 아직 성장이 목마른 주니어로서 일 외에 다른 생각이 떠오르지 않는다 ㅎㅎ..

눈앞의 목표를 위해 올 한 해도 최선을 다해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하겠다 했던 건 다 이루고 살았으니 포기하지 않고 화이팅!

올 한 해도 재미있고 멋진 사람들을 많이 만나며 함께 성장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