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균형이진트리1 B-Tree 데이터베이스 인덱스의 자료구조로 해쉬 테이블과 B+Tree 자료구조를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추가로 범위 탐색에 용이한 B+Tree를 대부분 활용하며 리프노드에 선형 데이터를 담아놓아 메모리 효율성이나 데이터 탐색에 용이하다 B-Tree는 어디서 파생되었는지 B-Tree에서 왜 B+Tree가 나오게 되었고, 어떤 자료구조를 구현하여 효율적인 탐색이 가능해졌는지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진트리 B-Tree도 트리 자료구조이며 깊이가 깊어지면 탐색의 비용이 커진다 이것은 트리 자료구조를 알면 어느 정도 이해가 될 것이다 이진트리의 탐색 비용은 얼마인가? 일반적인 이진트리는 편향 트리가 발생할 수 있어 탐색 비용은 O(N)이다 트리의 깊이가 깊어지면 비용이 올라간다는 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탐색의 비용.. 2023. 9. 15. 이전 1 다음 반응형